현대차 임단협 잠정합의안 부결, "부족한 임금안 원인'
현대자동차 조합원들이 올해 임금과 단체협약 교섭 잠정합의안에 반대해 연내 타결이 무산되었는데요.
사상 처음으로 현대자동차의 노사간 임금 및 단체협상이 해를 넘기게 된 케이스 입니다.
현대차는 올해도 이미 노조의 부분 파업으로 1조3100억원의 생산차질을 빚은 상황에서 추가 파업에 따른 막대한 손실이 우려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노조는 2017년 12월 23일 전체 조합원 5만890명을 대상으로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받아들일지를 묻는 찬반투표를 벌인 결과 투표자 4만5천8명(투표율 88.44%) 가운데 반대 2만2천611명(50.24%), 찬성 2만1천707명(48.23%)으로 부결됐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가 부결됨에 따라 임단협 연내 타결에는 실패하고 말았는데요.
노사는 조만간 재교섭에 나설 전망이라고 합니다.
부결 원인은 결국 예년보다 낮은 수준의 임금 인상안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현대차 노사는 최근, 다음과 같은 장점 합의안을 도출하였습니다.
기본급 5만8000원 인상(정기승호, 별도승호 포함)
성과급 및 격려금 300%+280만원
중소기업 제품 구입시 20만 포인트 지원
자동차산업 위기를 반영한 임금·성과급 인상 자제
사내하도급 근로자 3500명 추가 특별 고용
2019년까지 사내하도급 및 직영 촉탁계약직 50% 감축
중소기업 상생 방안 마련
4차 산업혁명 대응 관련 노사공동 협의체 구성
특히, 2016년 합의안 역시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처음 부결된 뒤 재교섭을 거쳐 다시 도출해냈는데요.
이밖에 사회공헌협의체도 만들어 3년간 30억원의 사회공헌 특별기금을 적립하기로 하였습니다.
노조는 올 임단협 과정에서 모두 19차례의 파업을 벌였는데요.
이때문에 6만2천600여 대에 1조3천100여억원의 생산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회사는 추산하였습니다.
노조는 2017년 12월 26일 교섭팀 회의를 열어 앞으로의 일정을 논의할 것입니다.
'이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기 모형' 착용, 스타킹 입고 커피주문 남성 음란행위 무죄 (0) | 2017.12.23 |
---|---|
안보리 새 대북제재 결의 2397호 채택 '석유제품 90% 차단' (0) | 2017.12.23 |
조윤선, 두번째 구속영장 '특활비 화이트리스트' (0) | 2017.12.23 |
기숙사 여대생 몰카 촬영한 교직원 '징역형' (0) | 2017.12.23 |
자살 막으려던 경찰관, 아파트 9층서 추락 '사망' (0) | 2017.12.22 |